인천 차이나타운
자장면의 발상지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고 이듬해 청나라 조계지가 설치되면서 중국인들이 현 선린동 일대에 이민, 정착하여 그들만의 생활문화를 형성한 곳이다. 화교들은 소매잡화 점포와 주택을 짓고 본격적으로 상권을 넓혀 중국 산둥성 지역에서 소금과 곡물을 수입, 193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1920년대부터 6·25전쟁 전까지는 청요리로 명성을 얻었는데 공화춘, 중화루, 동흥루 등이 전국적으로 유명하였다. 한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외환 거래규제, 무역 규제, 거주자격 심사 강화 등 각종 제도적 제한으로 화교들이 떠나는 등 차이나타운의 화교사회가 위축되었으나 한중수교의 영향으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오늘날에는 역사적 의의가 깊은 관광명소로서 관광쇼핑, 특화점, 예술의 거리 등 권역별로 변화하고 있으며 풍미, 자금성, 태화원, 태창반점, 신승반점 등이 중국의 맛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화교 2,3세들로 구성된 약 170가구, 약 500명이 거주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천차이나타운 (두산백과)
인천 차이나 타운 2/23/2019
공춘당 자장면 10,000원
=============================================================================================================
홍콩
홍콩(香港)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향(香)을 실어나르는 항구(港)가 위치했던 곳(향항;香港).
광동어 발음으로는 '횡꽁' 또는 '헝꽁'
비슷하게 발음된다.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샹강'(Xianggang)
이 이름은 본래 홍콩에 있는 섬 중 하나인 압레이차우(鴨脷洲) 섬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구룡반도 인근에 향을 생산하던 공장이 있었고 이 공장은 주강 삼각주를 통해 배로 중국 각지에 향을 실어날랐다. 그 때문에 압레이차우 섬에서는 항상 향 냄새가 났었고 거기서 이름을 땄다고 여겨진다. 영국인들이 처음 홍콩에 도달했을 때 이 섬에 도달했고, 그곳에 있던 중국인에게 "여기가 어디냐"라고 물었더니 "횡꽁" 비슷하게 발음한 것이 영국인들 귀의 몬더그린 필터를 거쳐서 Hong Kong이라는 표기로 확립되었다.
1926년 표기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는 Hongkong이라고 썼다. 이 시절 영국령 홍콩이 광동어 고유명사에 대한 영어 표기법을 확립하면서 한자 한 자마다 영어로 표기할 때 전부 띄어 쓰도록 규정했는데 이 규정에 따라 Hongkong이었던 것이 Hong Kong이 되었다. HK라는 약자를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동아시아의 도시.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광둥 성 주장 강 삼각주 하구에 위치하여 있다. 1841년부터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1997년 중국으로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설치되어 오늘에 이른다.
구룡반도(九龍半島, Kowloon, 보통화로는 주룽)와 홍콩 섬(香港島, Hong Kong Island, 보통화로는 샹강다오)을 비롯한 여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둥 성(廣東省) 선전(深圳)과 마주보는 지점에 있고, 또다른 특별행정구인 마카오(澳門)에서도 그리 멀지 않다. 대한민국보다 시차로 1시간이 느리고, 중국 대륙(본토) 및 대만 섬과 시간대를 공유한다. 아시아의 금융, 물류허브이자 쇼핑메카인 도시. 인구는 약 720만 명이고 면적은 1104㎢(서울의 1.82배)로 인구 밀도는 정말 높다. 1㎢에 6천 명 정도가 거주한다. 다만 홍콩 섬 북단과 까우룽 반도 남부 정도가 초고밀도로 개발되어 있고 나머지 지역(신계)은 인구밀도가 비교적 낮다. 엄밀히 말하면 체감 인구밀도가 매우 높은 것이다. 2004년 조사에선 홍콩의 각 도심이 세계 인구밀도 1~9위를 석권할 정도였다. 2012년 홍콩 정부가 다시 산출한 도심의 인구 밀도는 26,000명으로 세계 7위 수준이다.
(마카오-4위 포함) 그나마 신계를 개발해서 홍콩 전체의 통계가 6000명 정도. 참고로 교외 지역인 신계가 홍콩 전체 면적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앞의 26,000명은 홍콩에서 신계를 제외한 지역(면적 127㎢에 인구 약 340만 명 정도)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1997년 이전까지는 영국 땅이었으나 당해 7월 1일에 영국에서 중국으로 주권이 반환(혹은 이양되었다. 이런 역사 덕분에 지금까지도 중국 본토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홍콩은 홍콩 특유의 분위기가 있으며 중국 본토 부분 중 가장 가까운 광저우, 주하이, 선전 등과도 다른 분위기를 나타낸다. 이웃 마카오와도 또 다르고 대만과도 다르다.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홍콩은 중국 영토이지만 일국양제가 시행되어 많은 부분에서 중국 본토와 분리되어 있다. 홍콩은 올림픽 등의 국가 대표팀도 중국과는 별도로 가지고 있고, 일부 국제기구에도 중국과는 별도의 회원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다. 홍콩인들은 스스로 중국인이라는 인식을 가진 사람이 적은 편이다. 영국의 도시로서 100년 이상 중국과 정치적, 문화적으로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홍콩인들에게 중국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큰 실례이고 스스로를 중국인이라 여기는 홍콩인들도 대부분 중국 대륙의 중국인들과 스스로를 구분하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외교관을 제외한 제3국(대한민국 포함) 사람이라면 중국과 홍콩을 완전히 다른 나라로 인식해도 큰 문제가 없다.
=홍콩 투어 첫날
홍콩 캣 스트리트 [ Hong Kong Cat Street ]
낡은 카메라와 타자기, 빛바랜 영화 포스터 등 골동품을 판매하는 거리다. 중국의 마오쩌둥 관련 상품이 많고, 도자기나 조각상,
화첩 등 고미술품을 볼 수 있다. 싼 가격에 살 수 있는 기념품이 많다.
만모사원 [Manmo temple, 文武廟(문무묘)]
할리우드로드와 래더거리가 교차하는 곳에 있는 사당으로, 홍콩이 영국의 영토가 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인 1847년에 세워졌다.
아담한 규모로서 이름 그대로 문무의 두 신이 모셔져 있다. 문신은 문자, 문필을 관장하는 성인 문창제(文昌帝)로, 관리의 수호신으로 유명하다. 무신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관우로 액을 쫓는 신이기도 하다. 복을 빌기 위해 이곳을 찾는 홍콩인들과 관광객들로 항상 붐빈다.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Hillside Escalator, 中環至半山自動扶梯(중환지반산자동부제), 中环至半山自动扶梯]
홍콩 정부에서 건설한 교통 체계로, 홍콩 센트럴(中环, 중환)과 미드레벨(半山区, 반산구)을 잇는 다수의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를 가리킨다. 센트럴 지역과 주변 거주 지역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987년에 제시되었으며, 1993년 10월 15일에 개통되었다. 20개의
에스컬레이터와 3개의 무빙워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 중간에 출구가 있어 거리로 나갈 수 있다. 전체 구간의 길이는 약 800m이며,
에스컬레이터와 무빙워크는 지상의 입구에서 해발 약 135m 지점까지 올라간다.
세계 최장의 옥외 에스컬레이터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매일 5만 5천여 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할리우드로드와
캣스트리트, 만모사원, 소호 등 관광지를 지난다.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1994),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다크나이트(2008) 등의
영화 촬영지로 쓰이기도 했다.
Chi Lin Nunnery
치린 누네리는 모가오 동굴에 있는 수하바티 그림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으로 전통 당나라 건축물을 사용한다.
손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편백나무로 전체적으로 제작되어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수공예 목조건물이다.
이 건축물은 나무로 잘라낸 특수 연동장치를 이용해 제 자리에 고정시키는 중국 전통 건축기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16개의 홀, 도서관, 학교, 탑, 종탑, 드럼 타워가 있는 이 단지는 3만 3천 평방미터가 넘는다.
치린 누네리 빌딩은 현대 홍콩에서 이런 스타일로 지어진 유일한 건물이다.
Wong Tai Sin Temple (Chinese: 黃大仙祠)
원태신사는 홍콩에서 잘 알려진 사당이자 관광명소다, 원태신, 즉 대불멸의 왕에게 바친 도교 사원은
"당신이 얻는 것은 당신이 원하는 것이다" 라는 기도의 응답 신사로 유명하다.
이 절은 카우룽 북쪽에 있는 라이온록의 남쪽에 있다.
닭띠는 닭 앞에서
말띠는 말과함께..
몽콕 꽃집거리
몽콕 레이디스 마켓 & 야시장 거리
심포니 오브 라이츠(중국어: 幻彩詠香江,, A Symphony of Lights)는
매일 밤 8시에 홍콩 빅토리아 항 고층 건물들 사이로 펼쳐지는 음악 & 레이저 쇼 공연이다..
2004년 홍콩 관광 진흥청이 이 쇼를 개발하면서 총 4천 4백만 HK$가 소모되었다.
이 쇼는 4백만 명 이상의 관광객과 주민들을 끌어 모으고 있다
쇼는 13분 34초 동안 계속된다. 빅토리아 항 양안 37 여 개의 빌딩에서 펼쳐지는 공연은 교향악, 조명, 레이저 투사 등을 포함한다.
거우룽 짐사쩌이(九龍尖沙咀)의 성광대도 (Avenue of stars, 중국어: 香港星光大道) 등지에서 잘 보인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회사 레이저비전(laservision)이 제작하였다.
'사진·Picture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여행 2/24~3/1/2019 #3 (0) | 2019.03.03 |
---|---|
홍콩여행 2/24~3/1/2019 #2 (0) | 2019.03.03 |
Seville, Spain 9/25~27/2018 #3 (0) | 2019.02.08 |
Seville, Spain 9/25~27/2018 #2 (0) | 2019.02.08 |
Seville, Spain 9/25~27/2018 #1 (0) | 2019.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