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Picture/2023

북한산 via 북한산성-대서문-중성문-부황사지-부왕동암문-대남문-보국문-정릉 청수장 10/26/23

NaNo+AlphaGo 2023. 10. 26. 20:39

북한산 국립공원

1983년 4월 2일 지정·공시된 15번째 국립공원이다. 탐방객에게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자연경관의 보존과 합리적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정된 것으로, 이를 지역별로 보면 강북구 및 도봉구(21.43㎢)·성북구(4.75㎢)·종로구(4.16㎢)·은평구(9.42㎢) 등의 서울지역(39.76㎢)과 의정부시(9.23㎢)·고양시(14.93㎢)·양주시(14.58㎢) 등 경기지역(38.74㎢)을 합하여 총 78.5㎢에 이른다. 당초에 포함시키기로 했던 수락산(水落山)과 불암산(佛岩山)은 서울∼의정부 간 국도가 중간을 관통하고 있어 관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지정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북한산은 지금까지 도시계획법상 도시 자연공원이었으므로 운동시설을 제외한 숙박·유통시설을 설치할 수 없었으나 국립공원으로 지정됨으로써 그러한 시설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북한산 일대는 백운대(白雲臺)·인수봉(仁壽峰)·만경대(萬景臺) 등 20여 개의 높은 봉우리로 이어져 있고, 백인굴(白人窟)·송추폭포(松湫瀑布)·육모정·우이계곡(牛耳溪谷) 등 10여 개의 계곡이 흘러 경관이 뛰어날 뿐 아니라 신라 진흥왕 순수비(新羅眞興王巡狩碑:국보 3)를 비롯하여 북한산성·회룡사(回龍寺)·승가사(僧伽寺)·진관사(津寬寺)·광법사(廣法寺) 등 30개의 사찰, 11개의 사적·유적지 등 문화재들이 산재한다. 또한 미선나무 군락·나도국선나무·백선나무 등 희귀식물이 분포하고 살쾡이·오소리·흰족제비 등 20여 종의 포유동물과 홍방울새·찌르레기·쇠딱따구리 등 50여 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었으나, 많은 등산객으로 인한 인해(人害)와 공해로 여러 종류의 동물이 거의 멸종위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