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Health/건강

유전자변형식품, 먹어도 안전할까.

NaNo+AlphaGo 2010. 4. 11. 19:40

유전자변형식품, 먹어도 안전할까.



유전자조작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이란 유용한 유전자를 취해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와 결합시키는 등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농산물을 말한다.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개발된 GMO는 생산량 증대, 높은 경제 효율, 맛과 영양 향상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과연 무해한 것인지 안전성에 대한 우려 또한 크다.  

잡초나 해충을 이겨내는 튼튼한 작물을 재배할 수도 있고, 한 작물에 두가지 이상의 열매가 열려 생산성을 증대할 수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완전히 인체에 무해한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건강과 관련해,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GMO에 대한 정보들을 생물학자 리사 위젤(Lisa Weasel)에게 물어봤다.


Q: 전문가들은 유전자조작식품이 인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리라 우려하나?

A:  아직은 GMO와 관련해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너무 많다. 안전성 검증 연구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으며, GMO 개발업체들이 정부에 제출한 보고서만으로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기는 힘들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진행되는 안전성 검사가 필요하다. 이미 유전자조작작물로 만들어진 식품들이 널리 판매되고 있는데, 무심코 사먹기 전에 GMO의 장단점을 충분히 알고 결정해야 한다.

Q: 유전자조작작물은 다른 식물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가?

A: 생태적으로 비슷한 종이거나 함께 재배하는 경우, 유전자조작작물의 꽃가루가 다른 식물을 수분시킬 수 있다. 즉, 자연적 식물에 유전자조작식물의 유전자가 섞이게 되는 것이다. 멕시코에서 실제로 토종 옥수수에 유전자 조작 옥수수의 유전자가 전파됐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 때문에 옥수수의 유전적 다양성이 위협받고 같은 병충해에 모든 작물을 다 잃게 될 위험도 높아진다. 

또 한가지 문제는 유전자조작작물의 80%가 제초제 내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잡초를 쉽게 제거하게 하기 위한 조치지만, 결과적으로 잡초에도 GMO 유전자가 전파되어 내성이 강해지고, 농부들은 과거보다 더 많은 제초제를 사용해야만 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Q: 유전자조작식품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는 무엇인가?

A: 황금쌀(Golden rice)은 유전공학적으로 쌀의 배젖에 베타-카로틴을 첨가해 우리 몸에 비타민A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만든 작물이다. 10년전, 다른 식품을 통해 비타민A를 섭취하기 힘든 빈곤국 어린이들을 위해 인도적인 차원에서 개발되었으나, 개발도상국들이 유전자조작식품에 대한 거부감으로 황금쌀 원조를 거절하고 있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출처: Should we ban GMOs? By Brierley Wright, M.S., R.D.
http://shine.yahoo.com/channel/health/should-we-ban-gmos-453105/